공부/스페인어

[스페인어 기사] 고려인은 누구이고, 그들의 귀환은 한국에서 왜 환영받지 못하는가

아기사슴 2024. 7. 18. 05:00

https://www.bbc.com/mundo/articles/cpd9772n9m2o

 

Quiénes son los koryoins y por qué su regreso a Corea del Sur después de más de un siglo no es siempre bienvenido - BBC News

Personas de etnia coreana cuyos antepasados ​​emigraron a Rusia hace más de 100 años están regresando a Corea del Sur, pero el cambio puede ser difícil.

www.bbc.com

 

오늘 BBC Mundo 첫 화면에 고려인에 대한 글이 올라와있어서 읽어보았다. 


기사는 충남 아산의 둔포초등학교에 다니는 고려인 학생과 그 가족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다.  

 

나는 서울에 살고 있기도 하고, 학부모도 아니라 요즘 한국 내 다문화 가정, 이주민들과는 접할 기회도 거의 없어서 사실 뉴스로 나오는 것 외에는 아는 바가 없었는데, 둔포 초등학교의 경우 약 80%가 다문화 학생으로 분류된다고 한다. 

관심을 가져야할 문제이다. 


"Si no traduzco al ruso, los otros niños no entenderán ninguna de las lecciones", dice Kim Yana, una alumna de 11 años de la escuela primaria Dunpo en Asan, una ciudad cerca de Seúl, la capital de Corea del Sur.

 

"내가 러시아어로 번역하지 않으면 다른 아이들은 수업 내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할 거예요, "라고 한국의 수도 서울 근처 아산시 둔포 초등학교 11살 학생 김야나는 말합니다.

 

...

 

De hecho, casi el 80% de los alumnos de esta escuela se consideran "estudiantes multiculturales", lo que significa que son ciudadanos extranjeros o tienen un padre que no es ciudadano coreano.

 

실제로 이 학교의 학생 중 거의 80%가 "다문화 학생"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이들이 외국 국적이거나 부모 중 한 명이 한국 국적이 아닌 경우를 의미합니다.

 

...

 

 

Los koryoins son personas de etnia coreana cuyos antepasados emigraron desde Corea al lejano oriente del Imperio Ruso a finales del siglo XIX y principios del XX.

고려인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극동 지역으로 이주한 한국인의 후손들입니다.

 

Muchas de estas familias fueron deportadas a Asia Central en la década de 1930 como parte de la política de "limpieza de fronteras" de Stalin.

이들 중 많은 가족들이 1930년대에 스탈린의 "국경 정화" 정책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습니다.

 

Vivían en antiguos estados soviéticos como Uzbekistán y Kazajstán y, a lo largo de generaciones, dejaron de hablar coreano porque estaba prohibido.

이들은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같은 옛 소련 국가들에 살면서 세대를 거쳐 한국어 사용이 금지되어 한국어를 잊게 되었습니다.

 

La familia de Yana regresó a Corea del Sur hace siete años y ahora muchos más están haciendo lo mismo.

야나의 가족은 7년 전에 한국으로 돌아왔고, 지금은 더 많은 사람들이 같은 길을 걷고 있습니다.

 

 

En 2018, en la escuela primaria Dunpo, el 26,6% de los estudiantes eran considerados multiculturales. Este año, es el 79,3%.

2018년 둔포 초등학교에서는 학생의 26.6%가 다문화 학생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올해는 79.3%입니다.

(※ 스페인어에서는 소수점을 " , "로 표기한다.) 

 

...

 

 

Esto no es una sorpresa: la población de coreanos étnicos con ciudadanía extranjera ha aumentado más rápidamente en Asan que en cualquier otro lugar de Corea del Sur.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외국 국적을 가진 한민족 인구가 한국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아산에서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En 2010, menos de 300 de ellos vivían en la ciudad; en 2023, la cifra era 52 veces mayor.

2010년에는 300명 미만이 이 도시에 살았으나, 2023년에는 그 수가 52배 증가했습니다.

 

Corea del Sur comenzó a otorgar residencia a personas de etnia coreana que viven en China y los antiguos estados soviéticos después de un fallo histórico del tribunal constitucional que amplió la definición de "compatriotas" en 2001.

한국은 2001년 헌법재판소의 역사적인 판결 이후 중국과 옛 소련 국가들에 거주하는 한민족에게 거주권을 부여하기 시작했습니다.

 

Pero el número de inmigrantes koryoin comenzó a crecer rápidamente en 2014, cuando se les permitió traer a miembros de la familia.

하지만 2014년 가족을 동반한 귀환이 가능해지면서 고려인 이민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En el pasado, la mayoría de estos inmigrantes coreanos étnicos eran de China y hablaban coreano.

과거에는 이들 한민족 이민자 대부분이 중국 출신이었고, 한국어를 사용했습니다.

 

Pero el número de koryoins que no hablan coreano ha aumentado considerablemente.

하지만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고려인의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El año pasado, unos 105.000 koryoins vivían en el país, casi cinco veces más que hace una década.

지난해에는 약 105,000명의 고려인이 한국에 거주했으며, 이는 10년 전보다 거의 5배 많은 수치입니다.

 

 

...

 

한국의 노동력 부족, 출산율 저조 문제와 함께 제조업에서 일하는 한국인 노동자의 수 감소로 인하여, 

현재 현대자동차 하청업체를 비롯한 많은 공장에서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는 현황

 

외국인 노동자들의 경우, 4년 10개월의 단기 취업비자를 가지고 입국한 후에 기간이 만료되면

갱신을 위하여 본국으로 돌아가 최소 6개월을 머물러야 하나, 고려인의 경우 출국 없이 3년마다 체류기간 연장이 가능

따라서, 아산 뿐 아니라, 광주, 인천 등 다른 산업도시에서도 고려인 노동자들이 증가하는 추세

 

...

 

 

Pero como han descubierto Asan y la escuela primaria Dunpo, la inmigración puede plantear desafíos.

하지만 아산과 둔포 초등학교가 발견한 것처럼, 이민은 도전 과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Los niños coreanos sólo juegan con coreanos y los niños rusos sólo juegan con rusos porque no pueden comunicarse", señala Kim Bobby, un estudiante local de 12 años.

"한국 아이들은 한국 아이들과만 놀고, 러시아 아이들은 러시아 아이들과만 놉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소통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라고 12세 현지 학생 김바비가 말합니다.

 

Yana está de acuerdo y añade que a menudo se pelean porque no pueden comunicarse.

야나는 동의하며 소통할 수 없어 자주 싸운다고 덧붙입니다.

 

En un intento por superar la barrera del idioma, la escuela primaria Dunpo ofrece una clase de coreano de dos horas para estudiantes extranjeros todos los días, pero aun así, la maestra Kim Eun-ju está preocupada.

언어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둔포 초등학교는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 매일 2시간의 한국어 수업을 제공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 김은주는 걱정하고 있습니다.

 

"Creo que muchos niños apenas entienden las lecciones a medida que avanzan de grado", afirma.

"많은 아이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 내용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Otras clases se imparten en coreano y Yana dice que "el tiempo pasa rápido" porque muchos estudiantes necesitan que las lecciones sean interpretadas.

다른 수업은 한국어로 진행되며, 야나는 많은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빨리 지나간다"라고 말합니다.

 

La competencia académica en Corea del Sur está muy extendida y la escuela está perdiendo estudiantes locales, ya que los padres temen que la educación de sus hijos se vea afectada.

한국에서 학업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부모들이 자녀의 교육이 영향을 받을까봐 걱정하기 때문에 학교는 지역의 (한국인) 학생들을 잃고 있습니다.

 

...

 

La tasa de matriculación en la escuela secundaria de los estudiantes multiculturales es ligeramente menor que la de los locales, según una encuesta nacional oficial realizada en 2021.

2021년 공식 국가 조사에 따르면, 다문화 학생들의 중학교 등록률은 지역 학생들보다 약간 낮습니다.

 

Park Min-jung, experto del Centro de Investigación y Capacitación sobre Migraciones, teme que más estudiantes koryoin abandonen la escuela si no reciben el apoyo que necesitan.

이민정책연구원의 박민정 교육센터장은 고려인 학생들이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면 더 많은 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둘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La segregación se extiende más allá de la escuela: por ejemplo, en Asan, más koryoins se están instalando en el casco antiguo mientras que los lugareños se trasladan a la ciudad nueva.

분리는 학교 밖으로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산에서는 더 많은 고려인들이 구도시에 정착하고 있는 반면, 현지 주민들은 신도시로 이사하고 있습니다.

 

...

 

"Ya existe una importante resistencia psicológica a la afluencia de personas de etnia coreana que no se diferencian de nosotros, por lo que me preocupa cómo Corea podrá aceptar a otros inmigrantes en el futuro", dice Seong Dong-gi, un experto en koryoin de la Universidad de Inha.

인하대학교 고려인 이슈 전문가 성동기 교수는  "우리가 인종적으로는 다르지 않은 한민족 유입에 이미 심리적 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이 미래에 다른 이민자들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라고 말합니다.

 

Lee Chang-won, director del Centro de Investigación y Capacitación sobre Migración, está de acuerdo: "No existe un plan claro para la inmigración a nivel del gobierno nacional. Resolver el problema demográfico de los extranjeros en el país ha sido una idea de último momento".

이민정책연구원 이창원 정책연구실장은 이에 동의하며, "국가 차원에서 이민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없습니다. 국내 외국인의 인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사후 대책에 불과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

 

 

Lee dice que la actual política de inmigración está "muy inclinada hacia los trabajadores poco calificados", lo que lleva a una "visión común" de que los extranjeros sólo trabajan en Corea del Sur por un tiempo y luego se van.

이창원 실장은 현재의 이민 정책이 "저숙련 노동자에게 매우 치우쳐 있다"며, 외국인들이 단지 잠시 한국에서 일하다 떠난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낳고 있다고 말합니다.

 

Como resultado, afirma, ha habido poca discusión sobre un asentamiento a largo plazo para todos los inmigrantes.

그 결과, 모든 이민자를 위한 장기 정착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다고 그는 주장합니다.

 

"Espero que la sensación de crisis que estamos sintiendo respecto de la población pueda ser un catalizador para que nuestra sociedad vea la inmigración de otra manera", afirma la investigadora Choi. "Ahora es el momento de pensar en cómo integrarlos".

"인구에 대해 느끼고 있는 위기감이 우리 사회가 이민을 다른 시각으로 보게 하는 촉매제가 되기를 바랍니다, "라고 이민정책연구원 최서리 연구위원은 말합니다. "이제 그들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지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

 

주요단어 

  • Asimilación : 동화
  • Desplazamiento forzado : 강제 이주
  • Discriminación estructural : 구조적 차별
  • Endogamia : 근친혼/배타적 결혼
  • Exclusión social : 사회적 배제
  • Heterogeneidad : 이질성
  • Interculturalidad : 문화 간 상호작용
  • Marginalización : 소외
  • Multilingüismo : 다중 언어 사용
  • Pluriculturalismo : 다문화주의
  • Repatriación : 본국 송환
  • Segregación racial : 인종 차별
  • Transnacionalismo : 초국가주의
  • Xenofobia : 외국인 혐오
  • Zonificación residencial : 주거지 구역 설정
  • Densidad poblacional : 인구 밀도
  • Diáspora : 디아스포라/이산
  • Etnocentrismo : 자문화 중심주의
  • Gentrificación : 젠트리피케이션
  • Hiperdiversidad : 초다양성
  • Inmigración irregular : 불법 이민
  • Integración socioeconómica : 사회경제적 통합
  • Multiculturalismo : 다문화주의
  • Naturalización : 귀화
  • Política migratoria : 이민 정책
  • Remesas : 송금
  • Reubicación : 재배치
  • Sociocultural : 사회문화적
  • Subempleo : 불완전 고용
  • Urbanización acelerada : 급속한 도시

 

※ 단어 정리, 한국어 의미 등 글 작성에 chat gpt의 도움을 받았습니다.